티스토리 뷰
목차
오늘은 스마트팜의 장점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책, 활용 분야, 스마트팜의 미래전망, 구축하는데 드는 비용, 성공사례, 임대형 스마트팜, 스마트팜 혁신밸리, 교육기관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팜이란 무엇인가?
농사를 지으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을 작업과정에 활용하여 농업작물의 생육 환경을 가장 좋은 상태로 유지하고 관리하는 기술 기반의 농업 방식입니다. 다시 말해, 농장에 각종 IT 센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습도, 빛, 온도 등을 조절하고, 작물의 성장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입니다
스마트팜의 장점
- 생산성 향상: 최적의 생육환경을 만들어서 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고 병충해를 줄여 생산량을 증대
- 환경 보호 : 농약 사용량 최소화, 수자원 절약, 자연 환경 보호
- 품질 향상 : 일정한 품질의 농산물 생산이 가능,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맞춤형 농산물도 생산
- 노동력 절감 : 자동화 시스템 도입으로 농작업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활용 분야
온실: 온도, 습도, 광량 등을 조절하여 작물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제공
축사: 가축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사료 공급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생산성을 높임
수경재배: 물을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함으로, 공간 활용도가 높고 깨끗한 농산물 생산이 가능.
스마트팜의 미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들어서면서 농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음.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 다양한 기술과의 융합이 이루어짐으로 시간이 갈수록 더욱 스마트하고 지속 가능한 농업 시스템으로 자리잡을 것임. 현실적으로 우리나라 농업이 백퍼센트 스마트팜으로 전환 될수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일정비율 농업의 한축을 차지할 것이며 주축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농산물의 해외수출과 첨단 산업과의 접목이 기대되는 분야임
스마트농업 국내시장 현황

우상향 성장곡선을 계속 그려나가는 미래 성장산업
스마트팜 혁신밸리, 임대형 스마트팜
스마트팜 혁신밸리는 전국에 4개가 있고(전북 김제, 전남 고흥, 경북 상주, 경남 밀양) 일정시간의 교육을 수료하면 임대형 스마트팜으로 일정공간을 저렴한 임대비로 임대해서 개인의 수익화와 실제 영농으로의 정착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 청년창업보육센터 운영현황 및 계획

스마트팜 청년 전문인력양성을 위해 예산과 전문인력 구성 후 4개지역에서 사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초이론부터 경영실습까지 최대 20개월동안 교육이 진행됩니다. (경북 상주, 경남 밀양, 전남 고흥, 전북 김제)

이 사업은 정부의 집중지원분야로서 아래에 보시는 것처럼 모집 해에 따라 예산은 증액되고 선발인원도 늘어나 미래 전망이 밝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