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투자를 하던 저축을 하던 최소 1억 정도는 돼야 벌어도 잃어도 의식이 되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온다. 소액으로 하면 벌어도 푼돈이고 잃어도 푼돈이어서 아쉽지도 않고 재
산상 큰 변화도 없게 마련이다. 그래서 최소한 종자돈은 1억은 돼야 무엇을 해보려 해
도 의욕도 나고 의미가 생기는 것이다.
1) 1억 만드는 방법의 시작은 마중물과 결단으로 시작된다.
우물에 설치된 펌프에서 물을 길어 올리려면 물을 한두 바가지 넣고 힘차게 펌프질을
하면 물이 올라온다. 이렇게 물을 끌어 올리기 위해 붓는 물을 우리는 '마중물'이라고
한다. 한번 마중물을 넣으면 펌프질을 멈추지 않는 한 우리는 계속 물을 퍼 올릴 수 있다.
투자를 해서 돈을 벌려고 하는 사람도 이 마중물에 해당하는 돈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 돈을 '종잣돈'이라고 부른다. 종잣돈의 원래 의미는 농사를 짓기 위해 씨앗을 살 돈을
말한다. 1억이 되었든 1조가 되었든 우리가 돈을 벌려면 결단을 하고 목표를 세워야 한다.
결단의 좋은 예를 보자면 책상 앞에 앉아 마음속으로 "나는 가족의 가난의 고리를 끊고 존
경받는 부자가 되어 가족과 사랑하는 이들을 지켜주고 싶다"라고 되뇌며 마음을 강하게
먹는 것이다. 우리가 말을 내뱉음으로 언어를 이용해 선언하면 우리의 생각이 열리기 시
작하고 결국 행동이 실현된다. 중요한 것은 이것을 진지하게 반복하고 힘들 때마다 반복
해서 해야 한다. 그 후에는 1억을 모으겠다는 목표를 글로 써서 잘 보이는 곳에 붙여 놓아
야 한다. 지저분해 보일지라도 여기저기 많이 붙일 수록 좋다. 누가 보고 뭐라 하든 상관없
다. 나를 이해하고 응원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이 목표는 더 쉽게 이루어 진다. 누군가는 분
명히 조롱하고 비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비난은 도저히 범접할 수 없는 수준에 이르게
되면 그때는 줄어들게 마련이다. 사실 이 첫 단계가 가장 어렵다. 차라리 행동이 더 쉽다. 부
자가 되지 못한 사람의 대부분은 종잣돈이나 능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부자에 대
한 '욕구'가 없는 사람들이다.
2) 신용카드를 없애고 통장을 구조화해 재무계획을 세워라
그다음 단계는 신용카드를 없애는 것이다. 부자를 향한 첫 번째 조건은 '복리'라는 마술도구
를 내 편으로 만드는 것이다. 신용카드는 복리의 반대편에 서있는 적이다. 그래서 복리를 내
편으로 만들기 위해서 먼저 카드를 잘라 버려야 한다. 복리가 내편이 일단 되면 모든 돈이 들
어올 준비가 된 것이라고 보면 된다. 그 다음은 현금이나 체크카드만 사용해야 한다. 조금만
그 생활을 유지하면 복리가 와서 도와주는 단계가 오게 마련이니 귀찮아도 참고 버텨야 한다.
미래소득이 아닌 현재 소득으로 사는 연습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그다음은 통장을 여러 개 만들
어서 구조화해야 한다. 하나는 생활비 지출용 통장, 하나는 여유자금 통장인데 이 통장은 바닥
이 나면 그 이상 액수를 늘려서는 안 된다. 그리고 저축을 위한 통장도 만들어야 한다. 만약 이
런 작업이 귀찮고 힘들면 돈을 현금으로 찾아서 봉투에 각각 구분해서 넣어서 사용하면 된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균형 있는 예산을 세워야 통제와 경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되
는대로 쓰고 남은 만큼만 저축하면 기업도 국가도 개인도 모두 망하기 마련이다. 개인은 이렇
게 억지로라도 해야한다.
3) 1억의 10분의 1인 천만 원을 먼저 만들어라.
천만 원은 누구든 마음만 먹으면 모을 수 있는 돈이다. 1억 원의 10분의 1인 천만 원을 모으다
보면 그 과정에서 재미도 느끼고 요령도 붙고 추가수입이란 것도 생기면서 흥미가 생기게 된다.
그러다 보면 두 번째 천만원은 첫 번째 천만원보다 더 모으기 쉬워진다. 이렇게 모으는 과정을
배우고 느끼고 경험해야 한다. 이것이 시작이자 모든 것이다. 혹자는 이런 말을 하는 사람도 있
다. " 너무 돈만 강조하는 것 아닌가? 그렇게 돈을 모으는 것은 돈의 노예가 되는 것 아닌가?"라
고 말한다. 저축과 투자나 절약에 대해서 말하다 보면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이런
질문을 하는 그 사람이 오히려 위선적이라고 할 수 있다. 돈에 대해 말하는 것조차 싫어하면 부
자가 될 첫 단계를 닫아 버리는 것이고 돈을 그렇게 쉽게 생각하는 것 자체가 돈의 노예가 된 상
태인 것이다. 돈 때문에 결혼을 미루고, 아이도 못 낳고, 부모도 돕지 못하고 늙어서 일을 찾아야
한다면 그것 자체가 이미 돈의 노예상태인 것이다. 소비를 줄이고 저축하고 투자하란 말이 구두
쇠가 되라는 말이 아니다 재산이 늘어나고 경제구조를 이해하고 부자가 되는 길을 걸어가게 되
면 그것이 큰 행복인 것이다. 젊을 때부터 이런 행복을 추구하면 후에 찾아오는 풍요로부터 다른
행복도 같이 따라오게 마련이다. 이제 카드를 자르러 지갑을 열기 바란다.
종자돈 만들기 동영상보기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모로코 여행의 여정과 인상을 나누다 (0) | 2024.02.23 |
|---|---|
| 직장인이 부자되는 방법 3가지, 1인기업, 인사와 보고, 투자 (0) | 2024.02.20 |
| 부를 이루는 임계점, 조급증, 그리고 조급증 극복하기 (0) | 2024.02.18 |
| 부자만드는 4가지 능력, 돈벌기, 모으기, 유지하기, 잘쓰기 (0) | 2024.02.17 |
| 위기 상황의 세가지 인간상 자포 자기형, 관망형, 사냥꾼형 (1)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