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고대 그리스는 여러 유명한 철학자들이 활동하던 했으며 다양한 철학적 전통이 형성되었다.
철학자들은 누가 있는지 알아보자. 그리고 중세시대의 철학자들과 철학학파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1) 고대 철학자들과 그들의 사상
탈레스 : Tales는 철학의 창시자이자 선구자로 여겨지며, 그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여겼다.
헤라클레이토스: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는 주장으로 유명한 그의 철학은 변화와 역동성에 초점을
맞췄다
피타고라스: 수학과 음악의 관계를 강조했으며 피타고라스 정리로 유명한 수학자자이자 철학자이다.
소크라테스: 진리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대화와 질문을 통한 철학적 탐구로 '산파술'이 유명하다.
플라톤 :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이상적인 국가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다 그는 이데아에 대한
개념으로유명한 철학자이다.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제자로 논리학,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던 철학자로
알려져 있다. 에픽테토스: 신성한 필로소피로 유명한 그는 스토아학파 철학자들의 선도적인
철학자들 중 한 명이다 에피쿠로스: 행복과 즐거움을 가져다준 에피쿠로스 철학을 이끈 고대
그리스 철학자이다.
스토아 학파(Stoic school)는 고대 그리스 철학 사상의 하나로, 고대 그리스 시대의 헬레니즘이
발전한 철학적 학파이다. 스토아학파는 윤리적 지혜와 내면의 평화와 삶을 추구했다 변화와
어려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었다 스토아 학파와 대표적인 철학자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윤리적 중립성과 내면의 평화: 스토아학파는 외부 환경이나 상황에서 감정의 변동을 최소화하려고
했다. 그들은 화해와 내면의 평화를 찾는데 주로 초점을 맞추었다. 이것은 개인들로 하여금 더 나은
윤리적 삶을 추구하도록 만들었다.
존재론적 입장 : 스토아학파는 우주의 체계로 이해되는 '로고스'의 개념을 강조했다 로고스는
모든 것을 통제하고 지배하는 이성, 이해, 자연의 원리를 포함하는 철학적 개념이자 원칙으로
이해되었다. 그들은 외적인 성공과 물질적인 풍요 같은 것들을 '초월적인 열정'으로 간주하였다.
그것은 단지 좋은 것일 뿐 본질적인 행복과는 무관하다고 여겼다.
헌신 훈련: 스토아학파는 헌신을 통제하고 교육하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들은 이를 통해
인간은 이성적이고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 가르쳤다.
스토아학파의 대표적 철학자 :
제노 : 스토아 학파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고, 레이온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에픽테토스: 로마제국에서 활동한 스토아학파 철학자로 감정과 행동에 적용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세네카: 로마 철학자로서 스토아학파의 원리를 실생활에 적용하는 방법을 가르쳤다. 스토아학파는
로마제국 시대에 특히 영향력이 있었고 그의 사상의 뿌리는 중세 유럽에 있다 또한 스토아학파는
몇몇 철학자들과 함께 현대에 영감을 주는 주제 중 하나로 계속 논의되고 있다.
2) 중세 철학 철학자와 그들의 사상
중세 철학은 5세기에서 15세기 즈음에 발전한 철학이다. 주요 철학자들과 그들의 주요 사상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자.
보이티우스 (480–524): 그리스-로마 철학과 기독교 신앙의 융합을 시도했다. "철학의 위안"은
중세 철학의 시초이다
안셀놈(캔터베리 안셀름) (1033–1109): 그는 "신의 존재에 대한 증명"으로 알려진 증명신학을
제시했다.철학적으로 신의 존재를 논한 최초의 철학자였다.
피터 아벨라드 (1079–1142): 논리학과 언어철학에 대한 연구로 유명한 그는 '자유를 지지한다'는
원칙을 도입했다.
토마스 아퀴나스 (1225–1274): 그가 세운 신학대학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기독교 신학을
접목하여 설립되었다. 철학과 신앙은 조화를 이룰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존 던 스콧 (1266–1308): 대중신학에 대한 비판과 개인의 자유에 대한 강조를 통해 중세 스콜라
철학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스콜라 철학
스콜라 철학(學派學派學)이란 주로 기독교 신학과 고대의 중세의 학문적 전통을 말한다 그것은
그리스-로마 철학을 통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스콜라 철학의 특징과 의미 : 신학과 철학의 통합을 추구했고 기독교 신학과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의 결합을 위해 노력했다 스콜라 철학은 특히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구했다. 토마스 아퀴나스와 같은 중세 철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철학, 과학을 기독교
신학과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중세 철학자들은 믿음과 이성, 신학과 철학의 조화를 추구했다
이 시기는 종교적 신념과 이성적 사고의 조화를 시도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스콜라의 철학은
기독교 신앙, 합리주의, 고대 철학 등 중세의 학문적 발전을 이끌었고 융합을 시도했다, 이러한
노력들은 유럽의 학문과 사고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3) 결론
고대 철학은 우주의 근원, 원리, 본질에 초점을 맞추고 이성을 통해 의미와 가치를 탐구했다.
중세철학은 신과의 조화를 추구했고 그 기반 위에 중세철학이 세워졌습니다 학문의 신적
접근과 조화를 이루려는 시도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라고 말할 수 있다.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철학의 흐름과 철학이 필요한 이유, 인류에 미친 영향 (0) | 2024.02.23 |
|---|---|
| 철학책 추천 '철학의 역사' 그리고 '토마스 홉스' (0) | 2024.02.23 |
| 미국 철학의 뿌리, 초월주의와 실용주의 (0) | 2024.02.23 |
|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영향과 한계, 나아갈 방향 (0) | 2024.02.22 |
| 근대철학의 특징과 영향, 현대 철학과의 차이점 (0) | 2024.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