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27일, 정부와 반도체 3대 기업이 손을 잡고 미래 첨단 기술 고도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동시에 지역 교통 인프라와 해외 시장의 주요 흐름도 반도체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 그리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MOU 체결을 중심으로 국내외 주요 반도체 이슈를 정리해드립니다.

     

    ✅ 정부와 삼성·SK·DB, ‘모아팹’ 고도화를 위한 MOU 체결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는 과기정통부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DB하이텍이 참석한 가운데 반도체 기술사업화 및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양해각서(MOU)가 체결되었습니다.

     

    이 협약의 핵심은 바로 ‘모아팹(Moafab)’ 인프라 강화입니다. ‘모아팹’은 중소·중견기업이 고가 장비를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동 반도체 제조 인프라입니다.

     

    반도체반도체반도체
    반도체

    🚄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철도망 연결 추진

     

     

     

    이상일 경기 용인시장평택~이천 부발선‘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까지 연결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곳은 SK하이닉스가 2027년 5월까지 팹을 건설 중인 핵심 지역입니다.

     

    이 구간은 ‘경기남부동서횡단선’의 일부로, 용인·이천·평택·안성 근로자의 교통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SK스퀘어, 반도체·AI에 3조원 투자 계획 발표

     

    SK스퀘어는 주주총회를 통해 2027년까지 AI 및 반도체 분야에 3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투자는 소부장과 AI 반도체 기술 확보에 중점을 둡니다.

     

    출처: 뉴시스, 뉴스1

     

    [수도권 설 민심-인천] '메가시티 서울' 찬성 30%·반대 57%

    '총선 특집' 뉴스1, 서울·경기·인천 여론조사 70세이상 제외 전세대 반대 많아…세비 축소는 72% 동의 정부·여당이 추진 중인 '메가시티 서울' 조성에 대해 인천시민 10명 중 6명이 부정적인 입장

    www.news1.kr

     

     

    🌍 해외 반도체 시장 이슈 – CHIPS Act 논란과 글로벌 기업 전략

     

     

    미국 반도체 산업에서는 CHIPS Act 일부 폐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R&D World 보도를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Silvaco GroupMicon Global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EMEA(유럽·중동·아프리카) 시장 확대에 나섰습니다. 이는 전 세계 반도체 설계 소프트웨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전략입니다.

     

    출처: StockTitan

     

     

    📌 총정리: 대한민국 반도체, ‘기술-인프라-교통’ 삼각 축 본격 가동

     

    • 정부-기업 협력 체계 강화
    • 산업단지와 교통망 통합
    • 글로벌 경쟁에 대응하는 민간 투자 확대
    • 미국, 유럽 시장에서의 정책과 파트너십 변화

     

    이제 반도체 산업은 기술을 넘어 교통, 투자, 글로벌 정책과 긴밀히 연계된 복합 전략 산업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 기업, 지자체의 긴밀한 협력이 핵심이 될 것입니다.

     


     

    인기글

     

     

    2025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확대! 문구류, 디지털 콘텐츠, 지역 특산물까지 알차게 쓰는 방법

    2025년부터 문화누리카드의 사용처가 대폭 확대됩니다. 단순히 도서나 영화에만 국한되었던 사용 방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문구류는 물론, 유튜브 프리미엄 같은 디지털 콘텐츠 구독 서비스, 일

    another.np-eco.com

     

     

    테슬라의 위기, K-배터리 시장과 현대차에게 어떤 의미일까?

    최근 전 세계 전기차 시장의 큰 축이었던 테슬라가 판매 부진에 직면하면서 K-배터리 산업과 현대차를 포함한 국내 자동차 기업들이 새로운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시장에서 테

    another.np-eco.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