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우리는 경제활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품목에 투자를 합니다. 주식, 채권, 선물, 옵션, 부동산 등등
    무수히 많지만 오늘은 원자재에 대해 알아봅니다. 원자재는 각종 광물자원, 곡물, 희토류, 등등
    그 종류가 많습니다. 산업생산에 근간이 되는 거의 모든 자원이 이 원자재에 해당됩니다. 이번에
    는 이 원자재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원자재의 정의와 거래상 특징

     

     

    원자재의 주요 거래대상으로는 금, 은, 백금과 같은 비철금속을 포함하는 금속류, 원유, 반도체, 
    설탕, 목재, 천연고무, 면화, 그리고 옥수수, 밀, 콩 같은 농산물입니다. 원자재 뉴스에 자주 나오는
    이유는 원자재는 어느 나라에서나 산업과 소비생활에 필수 불가결하고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별한 재화이기 때문입니다. 원자재 가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 생산비와 수익, 물가에 
    걸쳐 광범위합니다. 원자재가격이 오르면 원자재를 이용해 생산하는 많은 제품이 연쇄적으로 
    가격 상승을 일으켜 물가가 오르게 됩니다. 원자재가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보니 완제
    품, 중간재를 생산하는 제조업자, 원자재, 중간재, 완제품을 판매하는 상인, 도매 유통업자에게 
    원자재 시세는 경우에 따라 사업의 사활을 좌우한다. 

     

     

     2) 원자재 시세를 결정하는 장소

      

     

     

    원자재 시세는 해외시장에서 정합니다. 뉴욕, 런던, 시카고 등 주로 선진국에 있는 대규모 국제
    상품거래소가 시장역할을 합니다. 국제상품거래소는 저마다 다른 상품을 거래합니다. 최초로 
    설립된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는 주로 곡물을 거래합니다. 뉴욕상업거래소는 원유와 금, 은, 백
    금 등 귀금속과 비철금속을 주로 거래합니다.   예외적인 가격패턴을 보이는 원자재로는 원유가
    있습니다. 원유는 경기가 나쁠 때라도 경기 회복 조짐만 있으면 이내 시세가 치솟기도 합니다. 
    값이 뛰기 전에 미리 사들이려는 기업 수요가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좋을 때라도 나빠질
    조짐이 보이면 시세가 떨어지는 원자재도 있습니다 기업들이 장차 생산과 투자를 줄여야겠다고
    판단하면 원자재를 덜 사거나 보유 물량까지 내다 팔기 때문입니다. 결국 원자재 시세에는 국제
    경기 흐름이 민감하게 반영됩니다. 원자재 시세를 주의해 보면 글로벌 경기 흐름을 읽는 눈이 밝
    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무기제작에 쓰이는 알루미늄은 국가 간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되거나 전
    쟁이 일어나면 글로벌 경기와 상관없이 수요가 늘어 시세가 오릅니다. 금이나 은같은 상품은 글
    로벌 경기 전망이 나빠지면 오히려 수요가 오릅니다.  화폐나 증권자산은 경제 상황이 급변하면
    값어치가 급락하지만 금이나 은은 유사시에 가치 변동이 적습니다. 국제 자산시장에서 금과 은
    을 안전자산으로 평가하는 이유입니다. 


     

    3) 원자재 거래하는 방법

     

     

    해외 원자재는 선물거래를 많이 합니다. 선물거래에서 중요한 원칙은 계약 시점과 실행 시점 사이
    에 어떤 사정 변화가 생겨도 계약을 그대로 이행한다는 것이다. 계약이행일이 되면 계약 이후 상
    품값이 올랐든 내렸든 상관없이 계약했던 가격대로 거래를 이행해야 합니다.  계약이행일에 매도

    자나 매수자나 가격의 추이에 따라 손해를 볼 수도 있고 이익을 볼 수도 있는 '제로섬게임'입니다
    처음 선물거래를 시작한 이들은 곡물농가와 중개상, 곧 곡물을 농가에서 사들여 도시에 내다 파는 
    상인이었습니다. 곡물은 날씨 때문에 풍작과 흉작이 엇갈리는 일이 잦고 그때그때마다 시세기 급
    변했습니다. 곡물 중개상들은 수확 전 곡물을 싼값에 사둘 수만 있다면  수확뒤 시세가 오를 경우
    한몫 잡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농가도 시세하락 후 손해를 보느니 수확 전 적당한 값에 곡

    물을 팔 수 있다면 괜찮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서로 입장은 다르지만 농가나 상인이나 선

    물거래로 득 볼 수 있겠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거래방법상 원자재는 현물로도 거래하지만 선물

    거래로도 많이거래합니다. '인도월'이란 선물거래로 계약한 상품을 건네주기로 정해 놓은 달을 

    말합니다. 인도월 칸에 '현물'이라고 표시된 상품은 현물거래 상품입니다. '10월 물'이나 '9월 물'

    등으로 표시된 상품은 선물거래 계약을 했고 계약한 상품을 건네주기로 정한 달이 10월 또는 9

    월이라는 뜻입니다. 시세표를 보면 선물이 현물보다 조금씩 비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선물

    이 현물보다 비싸다면 시장에서 장차 해당 상품 시세가 오를 것으로 예측한다는 뜻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