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을 위한 지원 제도들을 알기 쉽게 정리하여 안내드리려 합니다. 나라에서 지원해 주는 건 알지만 신청 방법도 복잡하고 자격 기준이 의외로 엄격해서 못 받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2024년도에는 심각해진 취업난과 경제 상황을 고려하여 정부 지원 사업을 대폭 증가시켰다고 합니다
1) 청년내일저축계좌
근로빈곤층 청년의 생계수급 등으로의 하락을 사전에 예방하고 일하는 중간계층 청년이 사회에 안착할 수 있도록 자산형성을 지원합니다.
담당부처 : 보건복지부 자립지원과 문의처 :129 지원주기 : 월 제공유형 : 현금지급
서비스내용 : 매월 본인저축 납입자에 한하여 본인저축액 10만원 이상 (매월 전월 23일 ~ 현월 22 입금마감일 이전) 대비
정부지원금을 정액 매칭합니다.
중위소득 50%초과 ~ 100% 이하 : 10만원 정액 매칭
중위소득 50%이하 : 30만원 정액 매칭
3년간 통장유지, 근로활동 지속, 교육이수, 자금사용계획서 제출시 적립금 전액을 지급합니다
정책대상별 추가지원금 (근로소득공제(생계급여 수급 청년), 탈수급 장려금, 내일키움 장려금, 내일키움 수익금 등) 지급이 가능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하러가기
www.bokjiro.go.kr
2) 청년 월세지원제도
두 번째 청년 월세 지원 제도입니다.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일 시 월 최대 20만 원을 현금으로 지원해 주는데요. 이건 2023년 8월까지 신청을 받았던 제도인데 임시로 기간을 연장하고 있으니 한시라도 빨리 신청하셔야 됩니다. 신청 방법은 자막으로 달아드릴게요.
2024년 8월까지 연장됨
청년월세지원 신청하러가기
www.bokjiro.go.kr
3) 빈 일자리 취업 장려금
세 번째 제도 빈 일자리 취업 장려금입니다. 청약통장의 경우 매월마다 납입해야 하는 금액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어 취업 전인 청년은 다가가기 어려운 진입 장벽이 존재합니다. 그런 분들을 위한 제도라고 볼 수 있는데요. 빈 일자리 취업 장려금은 2023년 10월 1일부터 2024년 11월 30일까지 빈 일자리 업종 10곳에 정규직으로 취업한 청년들에게 재직기간 3개월 6개월 차에 각 100만 원씩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만 15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이며 6개월 이상 실업자인 상태 또는 비경재활동인구면 가능합니다. 다만 취업이 정규직이어야 되며 고용보험에 가입해야 한다는 점 참고하세요. 여러분들의 기본 월급 외로 주는 지원금이니 이미 기간 내로 취업한 분은 서둘러 신청하시고 아직이신 분들은 이번 연도 꼭 취업 성공하시길 기원하겠습니다. 추가로 빈 일자리 취업 장려금과 연계되는 지원 사업도 있습니다. 바로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감면인데요. 이게 왜 연계되는 사업인가 싶을 수도 있지만 빈 일자리 취업 장려금은 취업 후에 받을 수 있는 장려금이라 말씀드렸죠. 그렇다면 우린 어떻게 해야 한다 바로 취업을 해야 한다는 것이죠. 취업에는 여러 가지 요건들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기술 자격증입니다. 이러한 기술 자격증을 따기 위해서는 그것을 배우는 시간과 비용도 있지만 자격시험을 보는 것에도 많은 부담을 갖게 됩니다. 연 최대 3일 동안 응시료를 50% 감면해 주는 사업이 진행 중에 있으니 자격증 시험을 준비 중이시라면 꼭 확인하셔야 할 정보입니다. 기존 자격증 시험과 신청 방법은 같으나 날짜가 정해져 있으니 확인해 보고 신청하세요.
4) 군대월급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남자라면 겪어야 하는 과정 바로 군대입니다. 18개월 동안 기나긴 싸움을 하시는 군인 분들을 위한 지원 사업인데요. 이는 월 40만 원씩 납입 기준 18개월 제대일에 총 1289만 원의 자산을 형성해 주는 지원 사업입니다. 이는 현역병,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사후복무요원 등 대부분의 군 복무 과정 장병들에게 모두 지원 가능한 사업이니 꼭 놓치지 말고 지원하세요. 이 외에도 단독 가구 최대 165만 원까지 받아갈 수 있는 근로장려금, 6개월간 월 최대 50만 원씩 지원해 주는 청년 구직 활동지원금, 교통요금을 30%나 할인해 주는 KPS 사업 자금을 저금리로 대출해 주는 청년 사업 지원금 등 여러 지원 사업들이 있으니 2024년은 놓치지 말고 신청하세요.
동영상 바로 보기
(동영상 내용을 발췌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청소년 발달장애아동 방과후 활동서비스 (0) | 2024.03.05 |
|---|---|
| Intro of my town, Nam-pyung (0) | 2024.03.02 |
| An Introduction to my town, In South Korea (0) | 2024.03.01 |
| 푸들 귓병 (0) | 2024.02.27 |
| 신혼부부 임대주택 (0)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