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현대사회의 사상의 한 흐름이며 특징인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해 알아 본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에 발전한 철학적, 문화적 운동이며, 이는 모더니즘에 대한 반응으로 생겨났습니다. 모더니즘은 전통적인 사고 방식을 탈피하고 새로운 형식과 아이디 어를 탐구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비판하면서 절대적인 진리나 현 실의 단일한 해석을 의심하고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강조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성 의 큰 이야기를 거부하고 다양한 소수자의 이야기와 관점에 집중합니다. 또한 언어와 표현의 상대성, 사회적 구성의 다양성, 문화적 상호작용 등을 강조하여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해석을 시도합니다. 이러한 철학적 관점은 문학, 미술, 음악, 영화, 사회과학..
이번에는 근대철학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봅니다. 근대철학이 끼친 영향과 그 특징, 그리고 현대시대의 철학과의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1) 근대철학의 특징과 근대 철학자들 근대 철학은 17세기 중반부터 18세기에 이르는 철학의 시기로, 전통적인 중세 철학의 틀을 뛰어넘고 현대 세계에 대한 새로운 이론과 관점을 탐구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철학은 다양한 문화적, 정치적, 과학적 변화에 대한 대응으로 나타났으며, 다양한 특징을 가집니다.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근대 철학에서는 경험과 이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르네 데카르트는 의심의 주체로서의 나를 주장했고, 존 로크와 데이비드 흄과 같은 철학자들은 경험을 중시하고 이성에 따른 이해를 강조했습니다. 합리주의와 인간 권리: 근대 철학은 합리주의와..
오늘은 철학 공부 과연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공부를 정말 제대로 하려면 일단 공부가 무엇인지에 대한 관념부터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철학 공부도마찬가지로 제대로 시작하고 싶으면 철학 공부가 과연 무엇인지 그것에 대한 생각을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1) 진짜 공부를 하는 방법 얼마 전에 유튜브에 언어 공부를 어떻게 하면 가장 잘할 수 있냐 하는 주제에 대해서 한 언어학자분께서 강연하는 그런 영상이 있었습니다. 핵심은 형식보다는 내용에 집중하라 는 것이었습니다. 즉 문법이나 어휘같은 정해진 형식, 그것을 배우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그냥 외국어로 된 내용들을 많이 보라는 것이었습니다. 그 학자는 컴펠링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내가 정말로 어떤 주제가 재미있고 그 내용이 재미있어서 거기에..
형이상이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알아보고 종류도 알아 보자 1) 학문의 분과 현상 오늘은 형이상학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인간은 알기를 원한다. 이 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1번 첫 부분에 나오는 유명한 내용입니다. 나는 언제쯤 성공할 수 있을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원하는 만큼의 재산을 모을 수 있을지에 대해 알기를 원하는 게 인간입니다. 또 어떤 사람은 이런 세속적인 가치들 말고 다른 것 보다 궁극적인 것에 관심을 기울 이기도 합니다. 나는 언제쯤 그 수명을 다하게 되는 걸까? 나는 왜 태어났으며 태어난 이유는 무엇일까? 그 구체적인 내용이 무엇이 되었든 간에 인간은 자신과 세계에 대해 궁금해할 줄 아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궁금증이 어떻게 보면 모든 학문의 시작을 알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