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고대와 중세의 철학자와 학파

고대 그리스는 여러 유명한 철학자들이 활동하던 했으며 다양한 철학적 전통이 형성되었다. 철학자들은 누가 있는지 알아보자. 그리고 중세시대의 철학자들과 철학학파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1) 고대 철학자들과 그들의 사상 탈레스 : Tales는 철학의 창시자이자 선구자로 여겨지며, 그는 만물의 근원을 '물'이라고 여겼다. 헤라클레이토스: "모든 것은 항상 변한다"는 주장으로 유명한 그의 철학은 변화와 역동성에 초점을 맞췄다 피타고라스: 수학과 음악의 관계를 강조했으며 피타고라스 정리로 유명한 수학자자이자 철학자이다. 소크라테스: 진리를 이끌어내는 방법으로 대화와 질문을 통한 철학적 탐구로 '산파술'이 유명하다. 플라톤 : 소크라테스의 제자로, 이상적인 국가에 대한 생각을 담고 있다 그는 이데아에 대한 개념으로유..

철학 2024. 2. 23. 00:06
철학책 추천 '철학의 역사' 그리고 '토마스 홉스'

이번에는 우리에게 쉽게 철학을 이해하고 접할 수 있게 해주는 철학책 소개와 그안에 설명되어진 철학자 홉스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1) 철학의 역사 첫번째 추천 도서는 [철학의 역사]이다. 이책은 철학입문서로 유명한 책이다 이책은 소크라테스부터 피터 싱어에 이르기까지 서양철학자들을 다룬 책이다. 이 책은 유명한 책이기는 하지만 그리 쉬운 책은 아니다. 그만큼 철학의 역사가 길고 장황하기 때문일 것이다. 신은 존재하는가? 어떻게 살것인가? 세계의 본질은 무엇인가? 여러 철학자들과 그들이 추구한 질문과 사유들, 진리탐구를 위해 서로 치열하게 논쟁하는 모습은 철학의 깊이와 방대함에 두려움을 갖게 한다. 그들의 열정과 용기에 기가 죽는다. 이 책은 철학 입문서로도 좋지만 추천하는 다른 ..

철학 2024. 2. 23. 00:03
미국 철학의 뿌리, 초월주의와 실용주의

미국 사회의 철학 여정은 수많은 사상과 역사적 맥락에 영향을 받아 왔다. 마치 털실로 짜놓은 매혹적인 옷감과 같다고 말할 수 있다. 초기 계몽주의 사상부터 현대 철학적 논쟁의 복잡성에 이르기까지 미국 철학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끊임없이 발전 해 온 탐구과정에 의해 형성된 살아 숨쉬는 듯한 생명체와 같다고 할 수 있다 . 1) 건국의 원리와 깨달음의 뿌리 미국 철학의 뿌리는 유럽을 휩쓸었던 계몽주의 사상에 깊이 내려 있다. 존 로크와 같은 사상가들이 계몽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이념의 기초를 닦았으며 선견지명이 있는 토머스 제퍼슨이 이끌었던 건국의 조상들이 이러한 사상을 독립선언서로 1776년에 번역했다. 시대를 초월한 개인의 권리를이루는 원칙과 정부는 국민으로부터 권력을 이끌어 낸다는 생각이 설립이념에 ..

철학 2024. 2. 23. 00:00
포스트모더니즘의 정의와 영향과 한계, 나아갈 방향

오늘은 현대사회의 사상의 한 흐름이며 특징인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해 알아 본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정의 포스트모더니즘은 20세기 후반에 발전한 철학적, 문화적 운동이며, 이는 모더니즘에 대한 반응으로 생겨났습니다. 모더니즘은 전통적인 사고 방식을 탈피하고 새로운 형식과 아이디 어를 탐구했습니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은 모더니즘을 비판하면서 절대적인 진리나 현 실의 단일한 해석을 의심하고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강조합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현대성 의 큰 이야기를 거부하고 다양한 소수자의 이야기와 관점에 집중합니다. 또한 언어와 표현의 상대성, 사회적 구성의 다양성, 문화적 상호작용 등을 강조하여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에 대한 복잡한 해석을 시도합니다. 이러한 철학적 관점은 문학, 미술, 음악, 영화, 사회과학..

철학 2024. 2. 22. 23:55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0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