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간은 줄곧 고도의 성장과정을 달려오던 60년대부터 90년대 초반까지 지나 우리나라가 어떻게 IMF외환위기를 겪게 되었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위기에도 패턴이 있다고 한다. 평범한 소시민들도 이런 위기의 패턴만 잘 파악해도 약간의 종잣돈으로도 그런 위기를 그야말로 '기회'로 만들 수 있다고 한다. 어떻게 해야 그런 위기를 나에게 기회로 만들 수 있을까? 1) 이렇게 외환위기는 시작되었다 90년대 초까지 우리나라는 고도의 성장을 이루어 왔다. '한강의 기적'이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10%를 상회하는 성장수치를 기록했었다. 정부의 제조업 중심의 수출주도형 산업육성정책에 값싼 노동력으로 국제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외국자본의 풍부한 유치, 교육시스템을 정비하고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기술개발과..
우리는 경제활동을 하면서 여러 가지 품목에 투자를 합니다. 주식, 채권, 선물, 옵션, 부동산 등등 무수히 많지만 오늘은 원자재에 대해 알아봅니다. 원자재는 각종 광물자원, 곡물, 희토류, 등등 그 종류가 많습니다. 산업생산에 근간이 되는 거의 모든 자원이 이 원자재에 해당됩니다. 이번에 는 이 원자재에 대해 알아봅니다. 1) 원자재의 정의와 거래상 특징 원자재의 주요 거래대상으로는 금, 은, 백금과 같은 비철금속을 포함하는 금속류, 원유, 반도체, 설탕, 목재, 천연고무, 면화, 그리고 옥수수, 밀, 콩 같은 농산물입니다. 원자재 뉴스에 자주 나오는 이유는 원자재는 어느 나라에서나 산업과 소비생활에 필수 불가결하고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별한 재화이기 때문입니다. 원자재 가격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인플레이션의 종류에는 수요인플레이션과 비용인플레이션이 있습니다. 각각의 원인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수요 인플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수요인플레이션은 '수요초과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합니다. 보통 경기가 과열되어 총수 요가 초공급을 크게 웃돌 때 생깁니다. 총수요란 국민경제 전체가 만들어 내는 수요, 총 공급은 국민경제 전체가 만들어 내는 공급입니다. 총수요가 총공급을 웃돌 때 발생하는 수요 인플레이션은 총수요를 가라앉힘으로써 막을 수 있습니다. 총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국민경제에 유통되는 통화량입니다. 시중통화량이 많으면 총수요를 크게 높이기 때문에 총수요를 줄이려 할 때는 중앙은행이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을 씁니다. 중 앙은행이 통화량을 조절하는 정책을 금융정책 또는 통화정책이라고 ..
이 전글에서 인플레이션의 개념과 종류에 대해서 알아 보았으니 이제 인플레이 션이 어떻게 국민경제, 국가경제에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경제상황에 따라 어떻게 행동하고 대처하느냐에 따라서 기회를 얻거나 손실을 키울 수가 있습니다. 구체적인 경제상황에 대한 대처방안도 마련해 둔다면 가계경 제나 개인경제에 적지 않은 도움을 얻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1) 인플레이션은 소비를 위축시킵니다 소비를 위축시켜 경기를 끌어 내립니다. 물가가 뛰면 현금의 가치가 떨어집니다. 물가가 빠르게 오르면 화폐가치도 그만큼 빠르게 떨어집니다. 물가가 뛴다 해서 월급이나 수입이 자동으로 오르지는 않으니, 현금여유가 적은 사람들은 씀씀이 를 줄일 수 밖에 없습니다. 현금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인플레이션 초기와 후..